사회통합정보망
www.socinet.go.kr 에서 온라인으로 회원 가입을 해야 다음 프로그램들을 이용할 수 있다.
사회통합정보망
이민자의 국내생활에 필요한 한국어, 경제, 사회, 법률 등 기본 소양을 체계적으로 습득하여 한국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지역사회에 쉽게 융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재한외국인에 대한 각종 지원정책을 KIIP(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)로 표준화하고 이를 이수한 자에게는 사증 발급, 체류 관련 각종 허가 등을 할 때 우대하거나, 국적취득 필기시험을 면제하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.
대상 : 모든 이민자 및 대한민국 국민이 희망에 따라 자율 신청
신청방법 : 온라인으로만 신청 가능(방문접수 받지 않음)
※ 사회통합정보망 www.socinet.go.kr 회원가입 후 ‘사회통합프로그램’ 신청 란에서 참가신청
혜택
- 귀화필기시험 면제 및 귀화면접심사 면제
- 국적심사 대기기간 단축
- 점수제에 의한 전문 인력 자격(F27)신청할 때 가점(최대 28점) 부여 등
- 장기체류 외국인의 일반 영주자격(F51),국민 배우자(F6)의 영주자격(F52),국민의 미성년 외국인 자녀 (F22)의 영주자격(F53),방문취업자(H2)의 영주자격(F512) 신청할 때 한국어능력 입증 면제
- 장기체류 외국인(D1,D5~D9,F1,F3,E1~E5,E7 등)의 거주 자격(F299)신청할 때 한국어능력 입증면제 - 비전문취업(E9), 선원취업(E10), 방문취업(H2)자의 거주 자격(F26) 또는 특정 활동자격(E71) 신청할 때 한국어능력 입증면제 - 한식조리연수(D-4-5),제주도 내 음식점 통역·판매 사무원(E-7-1), 국내·외 전문학사(2년제 이상 졸업 자)이상 학위소지자 및 국제교육진흥원 등 정부초청 장학생(F-4-14) 등 사증(VISA)신청 시 혜택 교육등록 및 참여
- 사회통합정보망의 ‘마이페이지’에서 참여자 체류지역 운영기관 중 교육받기를 원하는 법무부 지정 운영기관에 온라인으로 참여자 등록 신청
- 신청에 따라 배정된 운영기관의 교육일정에 따라 교육 참여
- 교육과정 및 이수시간
단계 | 0 단계 | 1 단계 | 2 단계 | 3 단계 | 4 단계 | 5 단계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과정 | 한국어와 한국문화 | 한국사회이해 | |||||
기초 | 초급1 | 초급2 | 중급1 | 중급2 | 기본 | 심화 | |
15시간 | 100시간 | 100시간 | 100시간 | 100시간 | 50시간 | 20시간 | |
평가 | 없음 | 1단계 평가 | 2단계 평가 | 3단계 평가 | 중간 평가 | 영주용 종합평가 |
귀화용 종합평가 |
참고 |
- 5단계 심화과정은 기본과정 수료(수료인정 출석시간 수강) 후 참여
※ 영주용 종합평가 합격자는 기본과정을 거지치 않고 심화과정에 참여 |
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
외국인 배우자와 결혼하는 국제 결혼자가 현지 문화와 관습, 유의사항 결혼사증발급절차 등을 배움으로써 다른 문화와 환경에서 성장한 배우자를 잘 이해하고 행복한 가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. 우리 국민 중 법무부장관이 고시한 국가(중국, 베트남, 필리핀, 캄보디아, 몽골, 우즈베키스탄, 태국)의 국민과 국제결혼을 하려고 하거나 , 이미 국제결혼을 한 상태에서 외국인배우자를 초청하려고 하는 사람 은 이 프로그램을 의무로 이수해야지만 외국인 배우자를 초청할 수 있다.
면제대상
- 외국인배우자의 국가 또는 제 3 국에서 유학 , 파견근무 등으로 45 일 이상 계속 체류하면서 교제한 경우
- 국내에서 외국인 배우자가 91 일 이상 합법체류하면서 초청자와 교제한 경우
- 배우자의 임신 , 출산 그밖에 인도적인 고려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
조기적응 프로그램
국내에 입국하는 모든 장기체류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사회 적응에 필요한 기초법과 제도, 기초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.
이민행정콜센터(☎02-2650-6399)
출입국 및 외국인등록, 체류기간 연장, 체류자격 변경 등 체류관련 사항, 친척초청 등 사증사항, 국적절차, 재외동포 거소신고 등 출입국과 외국인 정책관련 업무전반에 대해 안내를 받을 수 있으며, 필요하면 상담원과 상담도 가능하다.
가능 언어: 한국어, 영어, 중국어, 일본어, 베트남어, 태국어, 몽골어, 러시아어 등 7개 외국어
가능 언어: 한국어, 영어, 중국어, 일본어, 베트남어, 태국어, 몽골어, 러시아어 등 7개 외국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