광주가이드

공공요금

주거 공공요금

작성일17-11-30

조회수9718

본문

전기

한국의 가정용 전기 전압은 220볼트(220V)이다.
단, 오래된 주택의 경우에는 110V와 220V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. 해외에서 가져온 전자제품을 사용할 때는 제품의 전압이 220V에 맞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. 전압이 다를 경우 제품이 고장 나거나 위험할 수 있다. 한국의 전기 요금은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올라가는 누진제를 적용하고 있다. 즉, 많이 사용할수록 요금이 더 비싸진다. 이는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고, 저소득층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이다. 한국의 모든 전기 서비스는 한국전력공사(KEPCO)가 제공한다. 전기 신청, 요금 문의, 고장 신고 등은 한국전력공사에 문의하면 된다.

한국전력공사
TEL : 062-123

수도

광주의 수도는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에서 운영, 공급하고 있다. 광주시 수돗물의 명칭은 ‘빛여울수’이며 바로 마실 수 있는 고품질의 수돗물이다. 수도요금청구서는 한 달에 한번으로 발행되고 상수도 요금과 하수도 요금이 포함되어 있다. 요금 체계 및 각종 관련 정보는 상수도사업본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
TEL : 062-121

가스

한국에서 사용하는 가스의 종류는 도시가스(LNG)와 LPG가스 두 종류가 있는데 광주지역은 대부분 도시가스로 보급되고, 일부 지역에서만 LPG를 사용하고 있다. LPG를 사용하는 주택인 경우 근처 가스회사에 연락해서 가스 설치 및 구매에 대해 문의하면 된다.
도시가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역 도시가스 회사에 연락하여 서비스 신청을 해야 하는데, 사용 시작일에 맞춰 가스회사 기술담당자가 방문하여 설치를 해준다. 가스 설치 및 철거는 반드시 도시가스 회사의 전문 인력이 작업을 해야 한다.
도시가스 월별 요금 조회, 자동이체 신청 및 해지, 전출입 예약 신청 등은 해양도시가스로 문의하면 된다.

해양도시가스
TEL : 1544-1115 (영어상담가능)

공과금 결제방법

1. 지로용지 납부
주로 단기 체류자, 명의가 집주인으로 되어있을 때, 초기 입국 후 계좌 개설 전 인 경우 사용하는 방법으로 해당하지 않는 경우 주로 자동이체 방법을 많이 이용한다.

2. 자동이체
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은행 계좌 또는 신용카드를 등록해 매달 자동으로 요금이 납부되는 방식이다. (외국인 등록번호가 필요할 수 있음)

3. 직접 납부
은행 창구에서 직접 방문해 현금 납부가 가능하다. (은행 계좌 필요)